출품자격 | 공공디자인 관련 역량이 검증된 국내・외 기업(기관) 대표사는 공고일 기준 3년 이내 공공디자인 관련 공모전 수상 경험이 있거나 공공디자인 관련 분야 프로젝트 참여 실적 3건 이상 보유하여야 함 ※ (재)부산디자인진흥원은 공모과정에서 참가자에 대하여 프로젝트 실적 증명서 등을 요구할 수 있음
|
---|---|
참가제한 |
|
※ 1단계 통과 후 2단계 진출 시점에서 대표자 포함 기존 팀(1단계 신청팀) 구성의 변경은 불가함. 단, 주요 담당 팀원의 사망, 회사의 파산·해산 및 청산 등 불가피한 사유로 인한 경우는 예외로 하나, 이 경우에도 공모 (재)부산디자인진흥원이 요구하는 서류 등(증빙자료, 권리이전 등에 관한 확약서 등을 포함)을 제출하지 못하는 경우, 구성 변경이 불가한 것으로 봄.
1개 대상지의 Place Making + Public Goods 디자인
공모 대상지 : 디자인 특화거리(해운대, 수영 일원)
- 부산시립미술관~동서대학교~수영강휴먼브릿지(조성 중)~수영현대아파트 약 2km 구간
* Place Making : 플레이스메이킹은 물리적 구조물이나 건물이 아닌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에 초점을 맞춘 도시 계획 및 디자인에 대한 접근 방식. 아이디어는 기능적일 뿐만 아니라 그곳에서 살고, 일하고, 즐기는 사람들에게 아름답고 의미 있는 장소를 만드는 것
※ 참고 :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시설물
※ 복잡한 시설물 정리 및 효율 측면을 고려한 기능통합 디자인 및 개별 공공시설물의 부속물을 포함한 디자인을 권장함(예. 가로등 + CCTV + 비상벨 + 안내사인 + Etc).
출품자격 | 공공디자인 관련 역량이 검증된 국내・외 기업(기관) 대표사는 공고일 기준 3년 이내 공공디자인 관련 공모전 수상 경험이 있거나 공공디자인 관련 분야 프로젝트 참여 실적 3건 이상 보유하여야 함 ※ (재)부산디자인진흥원은 공모과정에서 참가자에 대하여 프로젝트 실적 증명서 등을 요구할 수 있음
|
---|---|
참가제한 |
|
2단계 진출 2개사 (선정자) |
|
---|---|
최종 선정 1개사 (최종 선정자) |
|
구분 | 상금 | 비고 |
---|---|---|
2단계 진출 시 (2개사) |
각 40,000,000원 (약 $27,390) | 디자인 개발비 |
최종 선정 시 (1개사) |
70,000,000원 (약 $47,940) |
실시설계비 (구조검토, 심의 및 인허가, 시공 시 디자인 감리 비용 포함) |
※ 위 표에 기재된 한화(KRW)를 기준으로 지급함. 위 표 내 미국 달러화 기재는 $1(USD)=₩1,460(KRW)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, 최종 환율은 상금의 지급이 이루어지는 당일 KEB하나은행 환율에 의함
※ 위 상금 금액은 대한민국 세금 및 각종 수수료(은행 송금수수료, 최종 선정 시의 상금의 경우, 실시설계, 구조검토, 심의 및 인허가, 시공 시 디자인 감리 비용 등)가 포함된 금액 임
구분 | 일자 | 비고 |
---|---|---|
공고 | 2025. 4. 22.(화) |
|
1단계 질의 접수 |
2025. 4. 23.(수) ~ 2025. 4. 28.(월), 18:00 마감 |
|
1단계 질의 응답 | 2025. 4. 30.(수) |
|
1단계 제안서 접수 |
2025. 4. 21.(월) ~ 2025. 5. 19.(월), 18:00 마감 |
|
1단계 제안서 심사 | 2025. 5. 23.(금) 이내 |
|
1단계 심사 결과 발표 | 2025. 5. 27.(화) 이내 |
|
2단계 작품 접수 | 2025. 7. 31.(목), 18:00 마감 |
|
2단계 작품 심사 | 2025. 8. 6.(수) 이내 |
|
최종 선정 기업 발표 | 2025. 8. 11.(월) 이내 |
|
실시설계 | 2025. 8. ~ 10. 중 |
|
세미나 | 2025. 9. ~ 10. 중 |
|
시공 | 2025. 10. ~ 12. 중 |
|
※ 위 내용과 및 본 지침서에 사용한 모든 시각은 한국 시각(GMT+9) 기준이며, (재)부산디자인진흥원의 사정에 따라 조정할 수 있음. 일정이 조정, 변경되는 경우 공식 웹사이트(https://big-idc.kr/)에 수정 공지함
구분 | 내용 |
---|---|
1단계 디자인 제안서 공모 |
|
2단계 디자인 공모 |
|
공통사항 |
|
평가항목 | 배점 |
---|---|
혁신성 | 20 |
독창성 및 창의성 | 20 |
효율성 및 기능통합 아이디어 수준 | 15 |
실현 가능성 | 15 |
과거 실적의 수준 | 30 |
평가항목 | 배점 |
---|---|
혁신성 및 창의성 | 20 |
기능성 및 효율성 | 20 |
조화성 및 주변 공간 연계성 | 20 |
공간 활성화 가능성 | 20 |
실현 가능성 및 유지보수 용이성 | 20 |